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운영/SEO

Chatgpt로 구글 애드센스 승인 실행 후기 - 그리고 의외의 실험 결과

by 실험맨1 2023. 5. 14.

요즘에 핫한 주제는 Chatgpt입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유튜브에서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 애드센스 승인을 Chatgpt로 하라는 강의를 들으셨을 겁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제가 직접 Chatgpt를 활용해서 만든 블로그가 구글 승인을 받은 것에 대해 직접 말해볼까 합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얻은 의외의 결과를 한번 써보겠습니다.

 

 

Chatgpt를 활용한 구글 애드센스 승인 방법

 

유튜브에서 강의하시는 분들을 보면 Chatgpt로 구글 애드센스를 승인받는 방법에 대해 백이면 백 이렇게 말했습니다.

 

  1. chatgpt에게 자신을 전문가라고 속이게 하고 주제에 대한 걸 포스팅해 달라고 한다.

  2. chatgpt가 쓴 글을 quillbot 같은 걸로 paraphrasing 하고 AI 검사기로 검사한 뒤에 한국어로 번역해서 붙여 넣는다.

 

그러나 제 경험에 의하면 1년~2년 전만 해도 구글 애드센스는 그리 호락호락하지 않았습니다.

그때는 통계적으로 명확한 가이드라인도 제대로 잡혀있는 상태가 아니었고, '애드고시'라는 말도 있었을 정도로 승인이 힘들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는 그에 대해 의문이 들었습니다. 정말로 chatgpt로 하는 구글 애드센스 승인이 가능한가? 도대체 어떤 점이 가이드라인을 정식으로 지켜서 하는 것과 차이가 있을까?

 

 

그래서 정식 실험을 위해 본 블로그를 만듬과 거의 이틀 차이를 두고 chatgpt로만 포스팅을 쓰는 블로그를 하나 더 개설했습니다.

그리고 구글 애드센스 신청은 똑같은 날에 동시에 했습니다. 그리고 두 블로그에 동시에 꾸준히 포스팅을 해 나갔죠.

 

실험 조건은 모두 동일했습니다. 1일 1 포스팅, 1500자 이상, 태그 지키기 등등.

제가 구글 애드센스 승인 후기에 올린 명확한 가이드라인과 똑같은 조건을 갖추었지만 글만 chatgpt가 쓴 글로 바뀌었다고 보면 됩니다.

 

다만 좀 이따 아래에 설명할 어떤 조건만 유튜브의 방식과 바꾸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결과는 어땠을까요?

 

chatgpt로 승인받은 블로그의 이상한 점

 

결과는 4월 27일에 가이드라인을 지켜서 쓴 본 블로그의 통과였습니다. 포스팅 21개로 통과했죠.

 

그리고 chatgpt로 쓴 블로그는 그 이후에도 포스팅을 쭉 해 나갔습니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었습니다. 4월 27일에 이 블로그가 승인되고 나서도 해당 블로그는 한참 동안 승인이 되지 않았다는 점이 그랬습니다.

뭐가 이상한 거냐 하시겠지만, 원래 애드센스는 하나의 계정에서 승인이 나면 두 번째 승인은 블로그가 제대로 자격을 갖추었을 시 거의 일주일 안에 해 줍니다. 왜냐하면 이미 검증된 판매자이기 때문에, 긴 절차가 필요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데도 4월 27일에서 거의 2주 이상이 지난, 구글 애드센스 신청일로부터는 무려 33일이 지난 오늘에서야 승인이 완료되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 승인 메일 이미지 캡쳐본입니다.
구글 애드센스 승인 메일

 

이는 google에서 지난 2월에 SEO 가이드라인에서 발표했던 AI로 만든 글들에 대해서 'E-E-A-T 방식만 추구하면 상관없다'는 입장과 상당히 대조적입니다.

 

구글 애드센스 홈페이지에는 공식으로 승인 기간이 최대 2주라고 적혀 있습니다. 그 말인즉슨, 반대로 승인 기간이 한 달을 훌쩍 넘어갈 만큼의 블로그는 앞으로 굉장히 심사숙고해서 지켜보겠다는 뜻으로도 파악될 수 있습니다.

 

이는 제가 SEO 강의 3편에서 했던 주장과 상동합니다. 

 

 

콘텐츠 SEO가 결국엔 테크니컬 SEO보다 훨씬 중요하다

 

그런데 이 블로그의 이상한 점은 또 있었습니다. 제가 글을 쓰고 있는 이 블로그와 chatgpt로 쓴 블로그의 경우, 애초부터 서브로 기획했기 때문에 남들이 거의 보지 않는 주제를 삼았습니다.

여기서 훗날 승인을 한 번 더 받으실 분들을 위해 승인에 대한 팁을 하나 드리자면, 남들이 쓰지 않는 주제로 글을 쓰면 사실 구글 애드센스 승인은 잘 됩니다.

이는 통계도 있고, 제가 따로 실험도 직접 해보았기에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해서 승인을 받더라도, 페이지가 상위에 랭크되는 경우는 매우 적었습니다.

하지만 chatgpt로 쓴 블로그의 경우, 검색하면 구글 상위에 랭크되어 있는 글이 무려 4가지나 되었습니다.

 

보통 12위까지를 상위 랭크라고 하는데, 이런 글이 무려 4가지나 되었던 겁니다.

 

어? 이건 좋은 것 아닌가요? 하시겠지만 쟁점은 따로 있습니다.

 


여기서 상위에 랭크된 3가지 글은 chatgpt를 활용하였더라도 모두 빠짐없이 제가 직접 검수해서 그 글 짜임새를 바꿔놓은 글들이라는 점입니다.

 

즉, AI 검사기에서 AI가 아닌 지수가 100%가 나올 때까지 글을 직접 깎고 돌리고 돌려서 만든 글들입니다.

 

그렇게 안 하고 대충 복사-붙여 넣기 해서 한 글들은 지수가 90% 가까이 나왔더라도 게재순위가 거의 아래로 처박혔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의 게제 순위가 나타난 이미지입니다.
블로그 게재 순위

 

 

제가 지난 SEO 3편에서 Chatgpt로 쓴 글은 블로그 지수를 깎아먹는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여기서 그 이유가 드러납니다.

 

구글은 중복성을 굉장히 싫어합니다. 그리고 Chatgpt로 만든 글들은 중복성이 굉장히 강합니다. 그렇기에 Chatgpt로 글을 만들게 되면, 중복성에서 거진 검열이 됩니다.

 

아무리 phraphraser를 돌리더라도, 문맥과 단어는 결국 영어로 번역되면 똑같은 표현이 됩니다. 이는 구글 SEO가 AI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됩니다.

그 증거로, 영어에서 AI가 아님 100%로 해서 한국어로 만들더라도 구글 번역기로 영어로 다시 돌리면 AI 아님 지수가 10~30%대로 꼬라박는 글들이 많습니다.

 

따라서 Chatgpt로 글을 쓰시더라도, 참고만 하시거나 지식을 얻는 용도로만 쓰시고 직접 쓰시는 게 제일 좋습니다.

 

구글이 바보가 아닙니다. 콘텐츠 SEO를 만족하는 E-E-A-T에 대한 스팸성 강화도 4월에 한다고 말했었으니, 앞으로 그 기준은 더 빡세 질 것입니다. 그에 대비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다른 글들을 참고하신다면 SEO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잘 알 수 있을 것입니다.

 

100만 원 유료급 무료 SEO 강의 1편 - 티스토리가 쓰레기인 이유

 

100만 원 유료급 무료 SEO 강의 2편 - 왜 내 글은 노출이 안되는가?

 

100만 원 유료급 무료 SEO 강의 3편 - 구글 SEO 상위노출을 위한 블로그 신뢰도 상승 방법

반응형